경기도 아이와 가볼만한곳
의왕 열차박물관 야외전시장
이번 포스팅은 경기도 아이와 가볼만한곳 2편
열차박물관 야외전시장이에요.
팜플렛 가장 뒷면에 야외전시장 약도가
그려져 있으니 참고해서 보시면 될듯 합니다.
열차박물관 본관 우측에는 철도기점 표지석이
있는데요 본래는 1972년 2월 15일 서울역에
건립했던 것인데 박물관으로 옮겨 놓은것이에요.
부산역 444.5km
인천역 38.9km
목포역 427.3km
평양역 260.7km
신의주역 496.0km
나진역 943.8km
이렇게 보면 서울에서 부산역과 신의주역까지
생각보다 많이 멀지가 않죠?
평소에 평양, 신의주는 가깝지만
아주 멀게 느껴지는 지역이었는데
수치로 보니 많이 멀지 않구나 생각이 들었어요.
언제고 기차를 타고 평양과 신의주까지
갈 수 있는 날이 오겠죠?!!
대통령특별동차
박물관 입구쪽에는 대통령특별동차가 있어요.
대통령 의전용으로 제작된 특수기차인데요.
경호원차량
대통령전용차량은 1969년 일본에서 도입했고,
경호원차량은 1985년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했어요.
2001년까지 운행되다가 2014년 5월
박물관으로 옮겨 복원,전시했고 국내에 남아있는
유일한 디젤전기동차입니다.
액압식 디젤동차
무궁화형 디젤동차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EMU-250)
Electric Multiple Unit-250
새마을호 퇴역시 투입하기 위해 만든
차량으로 2020년 경전선을 시작으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강선, 중앙선,
서해선 등에서 운행할 예정입니다.
핸드카
인력, 궤도재료 및 보선작업용 공구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한 장비입니다.
본관 뒤편에 있는 포토존
급하게 찍느라 조금 어둡네요ㅜ
협궤 증기기관차 13호
혀기11-13
등록문화재 제418호
1937년 일본에서 제작해서 조선총독부
철도국 수원운전사무소에서 조립한 증기기관차로,
레일 간격이 표준보다 좁은 궤도에서
운행하던 차량입니다.
수인선(수원~송도), 수여선(수원~여주)에서
주로 소금과 쌀을 운반하는데 사용했으나
속도가 느리고 안전성 문제로
운행이 중단됐습니다.
파시형 증기기관차 23호
파시5-23
등록문화재 제417호
1942년 일본에서 제작되었고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공장에서 조립한 텐더식 증기기관차로
전국 철도의 주요 간선에서 운행되었으나
1967년 디젤기관차가 등장하면서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증기운행기중기
제작년도 1927년
제작국가 일본
증기기관차의 원리를 응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자체증기보일러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암 및 후크를 작동시켜 중량물 운반에 이용
멀티플 타이 탬퍼
1967년부터 1977년까지 연688km의
선로보수 작업을 완료한 기계입니다.
협궤무개화차
등록문화재 제412호
철도 화물을 수송하기 위해
1955년 미국에서 제작했고
협궤선용 화물열차로 덮개가 없습니다.
수인선, 수여선에서 석탄, 광물 등을 운반했고
소래지역에서 생산된 소금도 운반했습니다.
1995년 수인선 폐지로 운행중단되었습니다.
협궤유개화차
등록문화재 제422호
지붕이 있는 협궤선용 화물열차로 미국에서
1955년 제작했고 주로 농산물 등을 운송했습니다.
우등형 전기동차
제작년도 1976년
제작사 대우중공업
최고속도 110km/h
최초로 전기동차 국산화에 성공한 차량으로
1981년도에 청량리~동해간 운행하다가
1998년 12월 1일부터 통일호로
청량리~제천, 청량리~원주간을 운행
비둘기호객차
차호 12061호
제작년도 1962년 5월
제작 인천공작창
좌석수 118석
최고속도 110km/h
보통급행 열차로 사용되다가 1967년부터
완행열차(비둘기호)로 사용한 차량
통일호 객차
차호 13101호
제작년도 1965년 12월 30일
제작 인천공작창
좌석수 72석
최고속도 120km/h
급행열차(통일호)로 사용된 차량
수도권 전동차
차호 1315호, 1115호
제작년도 1977년
최고속도 110km/h
국내에서 제작된 차량으로
1977년 3월 1일부터 2002년 10월까지
수도권전철 1호선에서 운행
수도권 전동차
차호 1001호
최고속도 110km/h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개통과 동시에
일본에서 완성차량으로 도입되어
최초로 운행했던 전동차로 2000년 12월까지
수도권전철 1호선에서 운행
디젤난방차
차호 905호
제작년도 1965년
제작 한국기계
통일호 객차와 비둘기호 객차 난방관에
증기를 공급한 차량으로 1965년 한국기계에서
제작하여 1987년 4월 15일까지 동절기에
객차와 연결하여 운행
협궤객차
차호 18011호
제작년도 1965년
제작 인천공작창
좌석수 54석
수려선(수원~여주), 수인선(수원~송도)에서
1987년 10월까지 운행
주한 유엔군사령관 전용 객차
등록문화재 제420호
1936년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공장에서
조립한 객차로 1958년 개조하여 주한 유엔군과
미8군 사령관 전용객차로 운행
귀빈객차 17호로도 불렸고,
1966년 11월 미국 존슨 대통령이 방한했을때
이 객차를 이용했는데 이를 기념하여
승차권이 발행하기도 함
대통령 전용 객차
등록문화재 제419호
1927년 일본에서 제작해서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공장에서 조립한 승객용 객차로
1955년 대통령 전용으로 개조되어
이승만 대통령부터 박정희 대통령까지 이용
전직 대통령 관련 유물로 상징적 가치가 높음
디젤전기기관차
차호 3100호대
최고속도 105km/h
1951년 7월 한국전쟁중 도입되어
1954년 4월 UN군으로부터 인수받아
디젤전기기관차 운행이 시작됨
본 차량은 1959년 도입되어 1960년 2월
신설된 특급열차 무궁화호를 견인하여
기존의 통일호보다 서울~부산간을 30분 빠른
6시간 30분에 운행함
디젤동차
차호 672호
제작년도 1963년
제작사 일본 Niigata사
좌석 63, 입석 69석
최대허용속도 105km/h
여객을 수송하는 객실부와 동력부를 갖춘
통근형 디젤동차로 1963년 7월 30일
경인선(서울~인천)에서 최초로 운행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기동차의 등장으로
지선을 운행하다가 1987년 6월 30일 운행중단
증기기관차
차호 미카3-161호
제작년도 1940년
제작 일본
1940년 8월 제작되어 부산~신의주을 비롯
전국 철도 간선에 운행되었고 디젤디관차의
등장으로 운행을 중단했다가 1981년 10월 1일
동해 남부선에 관광열차로 잠시 운행하고
1983년 4월 29일 운행중단
열차 종류가 엄청 많죠?!
하나하나 꼼꼼히 둘러보느라 생각보다
시간이 꽤 많이 걸렸어요.
그치만 현재는 볼 수 없는 열차들을
가까이서 살펴볼 수 있었기에 그 어느때보다
더 집중해서 봤었던거 같아요.ㅎ
경기도 아이와 가볼만한곳이라
가족들과 놀러온 아이들도 많이 있었고
선생님과 함께 기차를 보며 공부를 하러
온 아이들도 많이 보였어요.ㅎ
책에서만 봤던 것들을 직접 눈으로 보면서
공부를 하면 더 기억에 남을것 같아요.
최고의 현장 학습이 될 듯 합니다.^^
▼공감&댓글 남겨주심 감사합니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의중앙선 백마역/행신역/강매역/수색역 역사와 스탬프 (26) | 2019.01.03 |
---|---|
여의도CGV IFC몰 지하주차장 주차꿀팁 (53) | 2018.12.26 |
노원 가볼만한곳 태릉 중종왕비문정왕후릉 세계문화유산 (40) | 2018.10.04 |
서울 사진찍기 좋은 장소 경춘선숲길 화랑대역 출사 (41) | 2018.09.26 |
경기도 아이와 갈만한곳 의왕 철도박물관 (60) | 2018.09.13 |
인천 가볼만한곳 월미도 한국전통정원 강추! (38) | 2018.09.07 |
경인선 인천역과 도원역 역스탬프 날인 (72) | 2018.09.03 |
경기도 가볼만한곳 송추역 시작과 끝 (32) | 2018.08.07 |